[일의 성과 극대화}두드려야 열린다

1. 한 외국계 지사장을 만났다. 자신의 전문성이 없었던 회사인데도 지사장을 하고 계셨다. 비결을 물었더니 인터뷰 전에 요청도 받지 않았는데 사업 환경, 법규, 시장, 고객 반응을 조사하고 분석해서 리포트를 만들어 인터뷰어에게 프레젠테이션 했다고 한다. 그러자 글로벌 본사에서 보자고 연락을 받았다고 한다.


2. 나도 지난 시간을 돌이켜보니 가만히 있는데 누가 알아서 챙겨준 적이나 운이 갑자기 온 적은 거의 없는 둣하다. 대개 나의 제안이 회사 또는 고객에 반드시 도움이 된다는 논리를 가지고 글이나 말로 제시해서 이루어졌다. 물론, 정말 운이 좋으면 훌륭한 상사나 고객을 만나 말을 안 해도 잘 풀린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많다. 아무리 훌륭한 상사라도 투시 능력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다 알 수 없다. 같이 사는 자식의 마음도 모르고 애인들끼리도 서로의 마음을 모르는데 어떻게 상사가 자신의 마음을 알겠는가.


3. 얼마 전 직장인들과 이야기하는데 자신의 성과를 상사들이 몰라준다는 고민도 있었다. 가끔 자신의 공을 다른 이가 채가고 정치적인 사람이 결국 공치사를 받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물론 조직이 작으면 말 안 해도 대개 누가 잘하고 열심히 하는지 모인다. 그러나 조직이 커지거나 계층이 생기면 잘 안 보이기도 한다. 이 경우 필요한 것은 적극적 자기표현이다. 남의 것을 빼앗아 자기 공치래를 하는 일들을 원망하기보다 자신이 표현할 필요가 있다. 물론, 부드럽고 논리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징징거리거나 불평하면 안 된다. 혼자서 끙끙 앓고 있으면서 괜찬은 척, 초연한 척을 할 필요도 없다. 괜찮은 척하지 말고 상사에게 솔직히 말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을 구한다. 주위 사람들에게 도움을 구한다. 상사나 회사에 도움이 되는 제안을 하고, 자신의 일이 분명히 회사에게 도움이 되고 자신이 공헌하고 있음을 표현한다.


4. 좋은 사람으로 보이는 것과 자신을 표현하는 것은 서로 부딪치는 게 아니다. 남을 존중하면서도 얼마든지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 겸손이란 야심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겸손하지만 야심도 가질 수 있다.


5. 작은 차이가 큰 차이를 만든다. 수동적으로 있지 말고 두드려 볼 필요가 있다. 두드리면 열린다. 설령 당장 안 열려도 열릴 가능성을 훨씬 높인다. 가만히 있는데 무언가 문이 갑자기 열리지 않는다. 설령 열린다 해도 시간이 너무 걸리고 언제 열릴지 알수도 없다.


출처 :  : 일의 격(신수정 저자/ 전 KT 부사장) 

화살표TOP